전체 글: 141개의 글

화면 캡쳐 프로그램! 픽픽(picpic) 설치 및 사용법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9. 3. 26. 00:02 프로그램 추천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주로 사용하면 컴퓨터 화면을 찍을때 사용하는, 캡처 프로그램인

픽픽(PICPIC) 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는 칼무리나 알캡처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했지만,

최근에 이 툴을 알게 되어 유용하게 사용중입니다.


픽픽은 이미지 캡처를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와 비슷한 UI를 가지고 있어서 접근하기도 편하며,

여러가지 단축키와 부가기능으로 편하게 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또한, 간단한 드로잉이나 모자이크 기능 등도 유용합니다.


그럼, 먼저 설치 방법을 알아봅시다.


픽픽(picpic) 프로그램 설치 방법.



설치 방법은 간단합니다.

https://picpick.app/ko/download/

먼저 위 링크로 들어가서,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다운로드 받아진 exe파일을 실행해 줍시다.



위와같은 창이 뜨는데, 계속 다음 버튼만 눌러주면 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픽픽 사용법



설치가 다 완료되면 위와같은 창이 뜰겁니다.

물론 새로 만들어도 되지만, 캡처가 주가 이룰것이므로 먼저 옵션 창을 들어가 봅시다.



단축키 탭에 가서,

윈도우 컨트롤 캡처나, 영역을 지정하여 캡처 등의 단축키를 설정해놓고

미리 알아둡시다.



위 사진과 같이, 화면에서 단축키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캡처가 진행이 됩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영역을 지정하여 캡처(Shift+PrintScreen) 를 한 창입니다.



캡처가 끝나면 다음과 같이 편집 창으로 넘어갑니다.

탭으로 구분하기 때문에 여러장을 찍어도 한꺼번에 저장이 가능하므로,

여러장을 찍어서 나중에 한번에 편집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 외에도 눈금자, 십자선, 각도기 등의 여러가지 부가기능이 있으니

시간이 나시거나 필요하시다면 찾아서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윈도우 10 크롬 / 익스플로러에서 프록시 서버 수동 설정방법!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9. 3. 25. 11:40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가끔씩 사이트를 우회해야한다던가, 익명성이 필요하다거나, 개발을 하실때

가끔씩 프록시 서버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몇몇 경우에는 프록시 서버와 함께 툴을 줘서

VPN처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 딸랑 ip만 줘서

직접 ip를 입력해 접속해야 합니다.


이번 시간엔 윈도우 10에서 크롬이나 윈도우 익스플로러 등에서

프록시(Proxy) 서버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그 전에, 프록시 ip 등을 알수 있는 사이트 몇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한번 테스트해 보세요.





윈도우 익스플로러(explorer)에서 프록시 서버 설정하기



먼저, 프록시로 바꾸기 전에 원래 아이피를 알아둬서, 아이피가 정상적으로 바뀌는지 확인해봅시다.

네이버나 구글 등에 "내 ip 주소 확인" 등으로 검색해

ip를 확인해 둡시다. 저는 211로 시작하네요.



익스플로러로 들어가서, 우측 상단에 톱니바퀴 모양을 누르고

"인터넷 옵션"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다음, 위와 같은 창이 뜨면

"연결"탭으로 넘어가 "LAN 설정"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와 같은 창이 뜨면

1. "사용자 LAN에 프록시 서버 사용" 체크

2. 위에서 찾아둔 주소와 포트 각각 입력

3. 확인 버튼 클릭


을 순서대로 합니다.



저같은 경우 106으로 시작하는 아이피를 프록시 서버로 설정해서

정상적으로 106 아이피가 서버에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크롬(Google Chrome)에서 



구글 크롬으로 넘어가봅시다.

먼저 구글 크롬을 켜시고 우측 상단에 점 세개를 누른 후

"설정"을 찾아 눌러줍니다.



그 다음, 위와 같이 설정 창이 나오면

아래에 고급버튼을 누른 후 쭉 내리시다보면 "프록시 설정 열기"가 있습니다. 이를 눌러줍시다.

(또는 "프록시" 등을 위에 검색해 나온 프록시 설정 열기를 눌러도 됩니다.)



그다음, 위와 같은 창이 뜨면

"연결"탭으로 넘어가 "LAN 설정"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와 같은 창이 뜨면 익스플로러와 마찬가지로

1. "사용자 LAN에 프록시 서버 사용" 체크

2. 위에서 찾아둔 주소와 포트 각각 입력

3. 확인 버튼 클릭


을 순서대로 합니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똑같이

정상적으로 106 아이피가 서버에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IPTIME 무선 공유기 와이파이 비밀번호 바꾸기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9. 3. 24. 21:57 IT관련 잡지식/하드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저는 최근에 기숙사로 올라오면서 공유기 iptime을 하나 사서 달게 되었는데요.

와이파이 등을 이용할려면 랜선을 연결해 와이파이를 쏴주는 iptime같은 공유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막상 사서 어댑터와 LAN 케이블을 연결하면

비밀번호가 없어서 모두가 유용히 쓰이는 와이파이가 되어버릴수도있고

접속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속도가 느려집니다.

또한 보안에도 취약해서 자신이 쓰는 비밀번호가 털린다거나 그런 일도 생기고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늘은 비밀번호 설정을 바꿔

비밀번호를 아는 개인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IPTIME 공유기 와이파이 비밀번호 바꾸기



먼저, 노트북이나 폰으로 공유기가 쏴주는 와이파이에 연결 후

크롬이나 익스플로러 등 주소창에서

192.168.0.1

을 입력해줍니다.

(참고로 저기 슬래시 뒤 부분은 치면 알아서 리다이렉트됩니다)



주소창에 정상적으로 입력을 하고 엔터를 치면

위와 같은 창이 뜰겁니다.

로그인 이름 및 로그인 암호는

아무런 설정을 안했으면 각각 admin / admin 이므로 입력을 하고

아래의 보안문자를 빈칸에 입력후 로그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와 비슷한 화면이 뜨면 로그인에 성공한겁니다.

좌측의 '관리도구'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처럼 복잡한 창이 하나 뜰겁니다.

다른건 많이 신경쓸 필요 없고, 좌측의 '무선 설정/보안'탭을 눌러줍니다.



그럼 위와같은 창이 뜰겁니다.


위의 번호대로

1. 네트워크 이름 설정(와이파이 리스트에서 나오는 이름입니다.)

2. 암호 설정

3. 적용 버튼 클릭


이 순서대로 적용하면 와이파이가 끉어지고, 네트워크(와이파이) 이름이 바뀌면서

그 와이파이 이름에 설정한 암호를 통하여 로그인을 진행하면 됩니다.


참고로, 암호화는 무조건 WPA2PSK + AES 암호화를 해주세요.

그 이외의 암호화(WEP 등)은 보안 수준이 낮아 앱같은걸로도 뚫리는 수준입니다.


2018/12/25 -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 윈도우 10 저장된 와이파이 비밀번호 알아내는 2가지 방법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윈도우 10 파워셸 대신 "여기서 명령 창 열기" 띄우기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9. 3. 23. 19:09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오랜만에 다시 포스팅을 써보려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쉬프트+오른쪽 클릭을 하면 나오는

파워셸 창 대신에 명령창을 추가해보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다들 아시다시피(또는 모르실수도 있겠지만)

파일 탐색기 창에서 쉬프트+우클릭을 하면

"여기서 명령 창 열기" 또는 "여기서 PowerShell 창 열기" 라는 탭이 추가로 나올겁니다.


윈도우 7 까지는 명령 창 열기가 나왔는데, 윈도우 10부터는 PowerShell, 파워셸 창으로 바뀌어서

직접 수동으로 추가(정확히는 안보이는걸 보이게) 해야 합니다.





위 사진처럼 윈도우 10의 경우 "여기에 PowerShell 창 열기"밖에 없습니다.


이를 명령 창 열기로 수정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레지스트리를 수동으로 추가하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레지스트리 등록을 통해 자동으로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레지스트리 수동으로 수정해 추가하기


먼저, 레지스트리를 수동으로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사용자 명을 알아야 합니다.

사용자 명 같은경우 제어판->사용자 계정->계정 유형 변경 버튼을 눌러 알아낼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 봅시다.



먼저, 시작 창에서

"regedit"을 검색한 후 실행해 줍시다.

레지스트리 편집기입니다.



그 다음, 위와 같은 경로로 들어갑니다.

직접 탐색기로 들어가도 되고, 위처럼 빨간색 박스 안에

컴퓨터\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cmd

위 텍스트를 복사해서 붙여넣으셔도 됩니다.


여기서 HideBasedOnVelocityId를 삭제하면 그대로 해결이지만, 권한이 없으므로

직접 권한을 줘야 합니다.




좌측의 탐색기에서, cmd 폴더에 우클릭을 한 후

사용 권한(P)를 눌러 봅시다.



그 다음, 차례대로 고급 버튼을 눌러 줍니다.



고급 버튼을 누르면 위 같은 창이 뜰텐데,

일반적으론 소유자가 TrustedInstaller 라고 되어있을 겁니다. (저같은 경우 이미 수정했지요.)

변경 버튼을 눌러 소유자를 변경해줍시다.




소유자 변경 창이 뜨면, 저곳에 방금 찾은 사용자 명(저같은 경우 User)를 치고,

확인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 이후, 소유자가 바뀐것이 확인이 되면

방금 열었던 창(레지스트리 편집기 제외)을 다 닫아줍시다.



이제, HideBasedOnVelocityId를 손쉽게 삭제해 버립시다.

이후 레지스트리 편집기는 닫아도 상관이 없습니다.



이제, 다시 탐색기를 열어보면

"여기서 명령 창 열기"가 나옵니다.




레지스트리 실행파일(.reg)을 이용해 추가하기


다음 방법은 레지스트리 실행파일을 이용해 추가하는 방법입니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prompt]

@="@shell32.dll,-8506"

"Extended"=""

"NoWorkingDirectory"=""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prompt\command]

@="cmd.exe /s /k pushd \"%V\""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cmdprompt]

@="@shell32.dll,-8506"

"Extended"=""

"NoWorkingDirectory"=""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cmdprompt\command]

@="cmd.exe /s /k pushd \"%V\""


[HKEY_CLASSES_ROOT\Drive\shell\cmdprompt]

@="@shell32.dll,-8506"

"Extended"=""

"NoWorkingDirectory"=""


[HKEY_CLASSES_ROOT\Drive\shell\cmdprompt\command]

@="cmd.exe /s /k pushd \"%V\""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LASSES_ROOT\Directory\shell\cmdprompt]


[-HKEY_CLASSES_ROOT\Directory\Background\shell\cmdprompt]


[-HKEY_CLASSES_ROOT\Drive\shell\cmdprompt]




간단하게 추가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순히 add_open_cmd_here_for_windows10.reg 만 실행해주면 위처럼 창이 추가가 됩니다.


참고로 위 수동 방법과 동시에 사용하면 여기서 명령 창 열기가 두 개가 되므로,
하나만 하는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8] 오토핫키 완벽분해 강좌 - 변수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29. 18:41 프로그래밍/AutohotKey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어떻게보면 프로그래밍 언어에 꼭 필요하고!!

어떤분에게는 정말 어렵게 다가올수도있는..

'변수'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토핫키의 변수 체제는 일반적인 언어와 약간 달라서

완벽히 이해하는데 약간 어려울수도 있습니다. 저도 살짝 헷갈리는 감이 많고요.

아무튼 시작해보겠습니다.




변수란?

변수(變數)는 말 그대로 움직이는 수, 변하는 수입니다.

이런 변수에는 여러가지 값을 넣어

이를 여러가지 명령어에 활용할 수 있죠.


여기서 말하는 '값'은 정말 스펙트럼이 다양합니다.

단순한 bool(참,거짓인 true, false)부터

숫자(실수), 문자, 문자열

다양한 값을 변수를 통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전 시간에 배웠던 Mousemove,x,y 에서도

x, y 부분에 저희가 숫자를 넣었지만 이는 결국 변수라고 할 수 있는거죠.


그 외에도, Send, {키 이름} 이런 명령어에서도

키 이름 부분을 변수로 처리하기때문에

변수에 대신 키이름을 넣고 저 부분에 변수를 입력하면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 정의방법


변수를 정의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equal sign operator, 즉 등호(=)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1. 변수 이름 = 값


변수 이름은, 값 대신 사용할 임의의 문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값의 경우, 말 그대로 실제로 쓰여질 값입니다.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


Mynumber = 123

Mystring = 이건 문자열입니다.

Msgbox,%Mynumber%

Msgbox,%Mystring%



위와 같이, %Mynumber%  라는 말이 나오는 대신 Mynumber 변수로 정해진 값인 123이 나오고

마찬가지로 %Mystring%이 아닌 '이건 문자열입니다'라는 글자가 나오는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Ps. 값에 Mynumber에 %을 붙여준 이유는 추후에 서술하겠지만 호출할 때 변수명의 양 옆을 %로 감싸줘야 호출이 됩니다.





2. 변수이름 := 값


두번째론 위와 같이 선언하는 겁니다.

차이점은, 중간이 등호가 아닌 colon-equal operator (:=) 를 이용했다는 건데요(한글론 먼지 모르겠네요 ㅋㅋ;;)


이는 약간 특이한 점이 있는데요.

바로 '안의 값'을 넣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약간 추상적이긴 한데... 다음 예시를 보시죠.


Mynumber = 123

Mystring := "이건 문자열입니다."


Msgbox,Mynumber = %Mynumber%

Msgbox,Mystring = %Mystring%


Mystring2 := Mystring

Mystring3 = Mystring

Msgbox,Mystring2 =  %Mystring2%

Msgbox,Mystring3 =  %Mystring3%


위의 소스코드를 한번 읽어보시고 실행해보시면, 제 말이 어느정도는 이해가 될것입니다.

그냥 등호를 이용해 정의한것과 다르게, 저기에서는 문자열을 정의할때 앞에 큰따움표(")를 넣어줬습니다.

:= 는 안의 값을 넣어주기때문에, 문자열의 경우 큰따움표로 포장을 해야(?) 안의 값을 인식해 정의할 수 있는 거죠


그리고 또한 Mystring2 와 Mystring3 정의할때도 마찬가지입니다.

Mystring2에서는 :=를 이용했는데, 이를 이용해 변수명을 우변(값)에 넣으면

변수 안의 값이 Mystring2에 들어갑니다.

그렇기 때문에 Mystring2 에서는 Mystring의 값인 '이건 문자열입니다.'라는 값이 들어가죠.


반대로 =를 이용할때는 Mystring의 값이 그대로 대입이 되어

실제로 테스트해보면

Mystring3의 값은 Mystring으로 되는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 두가지 정의용 연산자는 굉장히 헷갈리므로

반드시 완벽히 구분하시길 바랍니다.


변수 호출하기



변수 호출은 선언하는것에 비해서 간단합니다.

위에서도 사용했지만, 단순히 % 안으로 감싸주면 됩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배웠던 명령어들 중 뒤에 붙은 패러미터들을 거의다 대체할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F5::

loopnum=10

sendkey:="hello"

loop %loopnum%

{

Send,%sendkey%

}

Return



이전에 배웠을때는 loop 뒤에 숫자를 넣고

Send 뒤에 칠 문자열을 적었겠지만

그걸 변수로 대체한 모습입니다.




마치며..


변수는 타 언어와 마찬가지로 오토핫키에서도 굉장히 많이 쓰이는 체제입니다.

반드시 완벽하게 알아야 이후에 지장이 없습니다.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하시는 분들은 오토핫키의 공식문서를 참조해보시길 바랍니다.

Variables https://autohotkey.com/docs/Variables.htm



오늘 강좌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