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1개의 글

차세대 케이블, 썬더볼트3란?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18. 23:41 IT관련 잡지식/하드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최근 노트북들이나, 가장 최신식. 특히 애플을 포함한 대기업 제품군들을 자주 보다보면

"썬더볼트"라는 말을 자주 들으실 수 있으실텐데요,

일반적인 USB포트도 아닌것같고, 어디에 쓰이는지 처음 보실수도 있는 이런 생소한 케이블인

썬더볼트 3 케이블에 대해서 오늘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썬더볼트란?

썬더볼트(ThunderBolt)는 USB 포트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전송용 인터페이스입니다.

하지만, USB나 다른 전송 인터페이스에 비해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9년 초창기때도 10Gbps를 보여줬으며,

현재 썬더볼트 3은 최대 40Gbps를 보여줍니다.


USB 3.0이 5Gbit 인 것에 비하면 상이한 결과죠.


썬더볼트의 사용처


썬더볼트는 현재 많은곳에서 사용하곤 있지 않지만, 가능성이 많은 케이블입니다.

속도가 굉장히 빠르기 때문에, 왠만한 작업을 해도 다 가능한 수준입니다.

데이터 전송은 당연히 가능하며,

5K 이상의 모니터도 RGB/VGA/HDMI를 넘어서 썬더볼트를 통해 화면 표시가 가능하고,

전원을 입/출력 하는것도 가능하고, 이더넷 등등도 당연히 가능하며

심지어는 eGPU라는 기기를 이용해 외장 그래픽카드를 썬더볼트를 통해 USB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썬더볼트3의 현상황


아직 썬더볼트3가 대중들에게 사용되기엔 아직 이른 기술입니다.

현재는 아직 Micro USB 에서 USB C로 넘어온 사람들도 적은데, 썬더볼트3를 수용하기는 아직 너무 느리죠.


게다가, 아는 사람만 쓰기 때문에 지원되는 하드웨어들은 다들 가격이 비쌉니다.

예를 들어 eGPU는, 그냥 데스크탑에서는 바로 메인보드에 끼울수 있겠지만 썬더볼트를 지원하는 eGPU 케이스만 30만원을 상회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케이블도 심지어는 5만원대 가량 나가는 판에, 당연히 사용화는 현재 힘들죠.


하지만, 기술이 자연스레 적용되는것처럼 썬더볼트 기술도 점차 범위를 넓혀가

자연스럽게 쓸 날도 언젠간 올겁니다.



썬더볼트와 USB 3.0의 차이


썬더볼트와 USB 3.0 중 Type-C USB는 외관은 동일합니다.

하지만, 위 사진과 같이 좌측처럼 번개 모양이 있는 경우 썬더볼트 케이블이며

번개 모양이 없는 경우는 일반적인 USB 3.0 타입C USB입니다.


썬더볼트를 지원하는 단자는, 썬더볼트 케이블과 타입C 중 USB3.0 케이블을 모두 지원하지만

타입C 중 USB3.0 케이블만 지원하는 단자는 썬더볼트 케이블을 지원하지 않으니

반드시 이점 참고하고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카카오톡 부계정 만들기 By TextPlus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17. 18:35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카카오톡을 사용하기 위해선 핸드폰 번호, 즉 통신사에 가입해 있어야 하는데요

특별한 사유로 공기계를 이용하시거나, 아이패드 등을 사용하는 분들은

카카오톡(KakaoTalk)을 이용하지 못해 불편해 하시는 분들이 있을것입니다.


이번에는 TextPlus 라는 앱을 통하여

가상의 번호를 만든 다음에 카카오톡 계정을 만들어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TextPlus 라는것은 외국 앱으로, 가상의 번호를 만들어서 전화나 문자메시지를 받거나 거는 겁니다.

직접 보내는 기능은 유료이지만, 수신, 즉 받는것은 무료인데요.

현재(2018년 12월)에는 일부 번호만 막히고 전체적으로 막히진 않았지만, 언제 막힐지 모르는, 사실 임시방편의 방법입니다.(애초에 카톡에서 허용해주지 않았으니까요)


비슷한 프로그램으로는 Textnow가 있긴한데, 방금 테스트해봤지만 이상하게 안되네요...


암튼 시작해 봅시다.



먼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에서 Textplus 를 설치해 실행해줍시다.




위와같은 창이 반겨줄텐데, 좌 버튼은 Sing Up, 즉 회원가입이고

우 버튼은 Log In, 즉 로그인입니다.


당연히 Sing Up을 하셔서 이메일 등을 입력하시고 회원가입하시면 됩니다.



정상적으로 회원가입 및 로그인에 성공하셨다면

가상번호를 주어질 지역을 선택하고 번호를 지정하는데요

여기에서 자신이 원하는 지역을 대충 설정한 후 아래의 GET A CUSTOM NUMBER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위처럼 번호가 만들어지면 절반은 성공한 겁니다.


이제 추가로 자신의 폰에 카카오톡을 하나 더 설치해봅시다.

(이건 부계정으로 이용하시는 분들만 해당됩니다. 공기계에 설치하시는분들은 스킵하세요)



삼성폰 같은 경우, 유용한 기능 내에

'듀얼 메신저' 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부계정을 만들때 사용하는, 메신저를 2개로 설치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들어가주세요.



보시다시피 카카오톡을 허용하시면 메인화면으로 갔을때 카카오톡이 있을것입니다.


만약 LG폰이시거나 구버전이신경우 Parallel Space(패러럴 스페이스) 라는 앱으로도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카카오톡에 정상적으로 접속했다면, 방금 위에서 얻었던 번호를 인증번호란에 입력해주고

나라의 경우 South Korea(한국)으로 되어있던걸 United Stated(미국)으로 바꿔주세요.


그다음 인증번호를 전송하면, textplus 에 인증번호가 나옵니다.

인증번호를 그대로 입력하면 부계정 만들기 성공!입니다.


만약 번호가 안된다고 뜬다면,

다시 텍스트플러스 앱에 들어가 주세요.



위와 같이 My Textplus Number를 터치하시면

다시 번호를 바꾸실수 있습니다.


다른 번호로 바꾼다음에 테스트하면

몇몇 번호가 카카오톡에 안걸려 운좋게 뚫으실 수 있을겁니다.




위처럼 오시면 성공한겁니다. 축하드립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7] 오토핫키 완벽분해 강좌 - Loop 문.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16. 22:26 프로그래밍/AutohotKey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오늘은 오토핫키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수있는 loop 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합니다.


원래는 변수나 그런거 먼저 알려드리고싶지만

사실 그런걸 배울려고 들어오신 분들이 아니라는걸 알기에...

그리고 사실 저도 그 개념을 설명하기 귀찮기에...

그냥 손에 잡히는대로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암튼 시작해봅시다.



반복문 Loop


Loop , Count


Loop. 직역하면 '고리' 이겠지만 여기에선 '반복'을 뜻합니다.

Loop, [횟수] 를 입력하고

아래에 중괄호를 씌워

행동을 몇회 반복할것인지를 정합니다.

뒤의 횟수가 생략되면 무한이 실행됩니다.


F5::

loop 3

{

 send,aaa

 send,{enter}

}

return


위와같이 예제 스크립트를 그대로 작성해서 실행해보면..



위처럼 중괄호 씌운 aaa와 엔터 누르는걸 loop 설정해준 3번 반복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F5::

loop

{

send,aaa

send,{enter}

sleep,500

}

Return


F6::

exitapp

위와 같이 Loop 안에 아무것도 없이 남겨놓으면.. 당연히 무한 반복하겠죠??


여기서 테스트할때 주의사항!!

이렇게 하는경우 F6을 눌러 쓰레드를 종료시켜주지 않으면 컴퓨터를 종료시켜줄때까지 계속되고,

중간에 Sleep이 없으면 본인이 누르는 키가 프로그램에 의해 씹히므로

반.드.시 저 Sleep과 Exitapp 구문을 넣어서 테스트해주도록 합시다.



예상대로 F5를 누르니 F6을 누를때까지 무한반복하는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Loop한 횟수를 아는 %A_index%

F5::

loop

{

msgbox,%A_index%

}

Return



A_index는 변수의 일종으로, 추후에 서술하겠지만

Loop 안에서 몇회 Loop 했는지를 알려줍니다.

다른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르게, Autohotkey에서 A_index는 무조건 1부터 시작합니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넘어오신 분은 이점 주의해주세요.


위와 같이 Loop 한 횟수를 차례대로 보여주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While 문, For 문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넘어오셨다면? '엥? 왜 While문이나 For문을 안쓰고 Loop를 쓰지?' 같은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계실겁니다.


하지만, 이는 변수의 개념을 알아야 하고

사실 오토핫키 내에선 와일문과 포문을 Loop로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실무 용도에서도 별로 사용하지 않는 편입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오토핫키 문서를 참고해보세요

While Loop : https://autohotkey.com/docs/commands/While.htm

For Loop : https://autohotkey.com/docs/commands/For.htm


나중에 정말 포스팅을 끝까지 마치면 외전같은 느낌으로 포스팅도 할수 있겠지만..

저같은 경우 비추하겠습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6] 오토핫키 완벽분해 강좌 - 마우스 조작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15. 16:39 프로그래밍/AutohotKey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오랜만에 오토핫키 관련 강좌를 쓰네요.


저번 시간엔 오토핫키에서 빠질수 없는 Sleep과 관련해서 알아봤었는데요,

2018/05/09 - [프로그래밍/AutohotKey] - [5] 오토핫키 Autohotkey 완벽분해 강좌 - Sleep

이번에는 Mouse, 즉 마우스 커서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마우스 관련 이벤트들


우선 마우스는 기본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좌클릭, 우클릭이 존재하고

클릭하고 드래그를 하거나,

마우스 휠 조작 등이 있죠.


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오토핫키를 통해

마우스 위치를 얻어서, 이걸 조작할 수 있습니다.



먼저 위 프로그램을 받아주세요.

Window Spy 라는 오토핫키 소스 프로그램으로, 오토핫키를 설치하면 내장되있습니다.

이를 실행해주면..



위 사진과 같이 복잡하게 뭐가 많이 뜰겁니다.

일단 제일먼저 봐야할것은 저기 빨갗게 칠해진,

Mouse Position 부분의 Window : 부분입니다. 각각 X, Y 좌표를 갖고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2019/05/08 - [프로그래밍/AutohotKey] - [Autohotkey][15] 오토핫키 강좌 - 기준점 바꾸기! Coordmode

를 참고해보세요.




위처럼, 마우스가 움직이면 그에 맞춰서 Mouse Position 부분이 움직이는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Ctrl 이나 Shift 버튼을 누르면 그 부분이 일시정지가 되어, 어딘가에 기록한 다음에 다시 떼서 마우스 위치를 찾으시면 됩니다.



마우스 위치 변경하기

가장 기본적으로, 마우스 위치는 Mousemove 라는 오토핫키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MouseMove, X, Y [, Speed, R]


이런식으로 구현이 되며, X 와 Y 는 위에서 찾은 마우스의 X,Y 좌표이며

Speed는 마우스가 이동할 위치, R같은 경우 R을 적으면 현재의 마우스 위치에서 설정한 X,Y좌표만큼 이동하는 것입니다.

현재는 쓰일 일이 없으니 그렇구나~ 만 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X,Y 좌표만 입력하면 마우스이동은 끝! 입니다.


F5::

Mousemove,216,131

Return



위와 같이 스크립트를 짜놓고 실행을 해보면..




위와 같이 정해진 좌표로 마우스가 이동하는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마우스 클릭


먼저, 마우스 클릭같은 경우 매우 간단하게는 Click 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Click 만 입력하면 왼쪽 버튼을 누르는것이고,

위 사진과 같이 Click, Down 같은 경우 Click 버튼을 꾹 누르고 있는 상태,

Click, Up 같은 경우 Click 버튼을 뗀 상태가 됩니다.

F5::

Mousemove,216,131

Click,Down

Click,Up

Send,asdfasdf

Return




다른 경우는 Mouseclick 함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MouseClick [, WhichButton , X, Y, ClickCount, Speed, D|U, R]

위와 같은 형태며, WhichButton 엔 Left(좌클릭)나 Right(우클릭), Middle(가운데 버튼 클릭) 등이 올 수 있고

X,Y는 마찬가지로 좌표,

Clickcount는 얼마나 누를것인지,

Speed는 속도(가장 느린것이 100, 가장 빠른것이 0)

D를 선택하면 Down, 즉 꾹 누르는것

U를 선택하면 Up, 즉 떼는것

R은 위 설명과 동일합니다.


주로 X,Y까지만 쓰지 뒷부분은 자주 사용하진 않기때문에, 앞부분만 알고 계셔도 상관은 없을 듯 합니다.

F5::

Mouseclick,left,216,131

Send,asdfasdf

Return


위 두 스크립트 모두 위처럼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우스 드래그


마우스 드래그 또한 마우스 조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마우스 드래그는 작게 보면, 마우스를 이동한 후 꾹 눌러서,

뗄 부분으로 마우스를 이동한 후 떼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가지 방법으로 구현이 가능하지만

3가지 방법으로 구현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F5::

Mousemove,259,175

Click,down

Mousemove,56,76

Click,Up

Return


먼저, Mousemove 와 Click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F5::

Mouseclick,left,259,175,1,100,D

Mouseclick,left,56,76,1,100,U

Return

다음으로 마우스클릭을 이용한 방법입니다.

위에서 서술했듯이, 1은 클릭횟수, 100은 딜레이, D는 Down, U는 Up입니다.


MouseClickDrag, WhichButton, X1, Y1, X2, Y2 [, Speed, R]


다음으로 MouseclickDrag입니다.

특이하게 X1,Y1 시작점을 지정해주고, X2,Y2 끝점을 지정해줘서

드래그하는 함수입니다.





세 스크립트 모두 위처럼 작동합니다.



마우스 휠


마우스 휠도 사실은 하나의 버튼에 불과합니다.

Click, Wheeldown 을 통해 아래 휠 버튼을 누르고

Click, Wheelup 을 통해 위 휠 버튼을 누를 수 있습니다.

F5::


Mouseclick,left,140,115

Click,Wheeldown

sleep,300

Click,Wheeldown

sleep,300

Click,Wheeldown

sleep,300

Click,Wheelup


Return


위처럼 마우스 휠이 잘 작동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우스의 위치


맨 윗부분에서, spy를 통해 마우스의 Window 위치를 통해 X,Y 좌표를 알 수 있다 했습니다.

이는, 그 창이 활성화되어있을때 그 창의 X,Y좌표를 가져오는것으로

다른 창이 활성화되있을때의 좌표를 입력하면 생전 딴 좌표로 이동하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서 매크로를 만들때는

항상 매크로 대상이 되는 창을 활성화 된 상태에서 좌표를 가져와야 합니다.


물론 모니터의 화면, 즉 절대적인(absolute) 좌표(screen)를 가져와 클릭하거나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Coordinate 를 이용한 강좌에서 제대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노트북 그래픽카드 선택하기!! - 벤치마크 비교.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14. 00:18 노트북 이야기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곧있으면 저같은 대학생분들이 노트북을 구매하기위해 많은 정보를 찾고 계실텐데요

오늘은 노트북 중 화면을 표시하는, 노트북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도 할수있는

그래픽카드, 즉 GPU 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요즘 가장 유행하는 3가지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고

최대로 지원하는 게임까지도 알아봅시다.





대학생 새내기분들은 당연히 문서작업이나 공대생분들도 가벼운 프로그램만을 다루기 때문에

사실 딱히 고사양의 노트북은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취미로 무거운 프로그램으로 뭔갈 만든다거나(영상이라던가, 3D로 뭔갈 만드던가 등등)

게임으로 오버워치나 배그 등등의 게임을 할 예정이시라면 당연히 사양에 눈이 가는건 당연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의 사양이 내게 적당하고,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한지 노트북이나 컴퓨터에 대해 잘 알지 못하시는 분들은

잘 알기 어려울겁니다.


제가 소개해드리는 아래 세개의 그래픽카드들은 상용노트북들이 거의 90% 이상 채용하고있는 그래픽카드들입니다.

게이밍 노트북은 돈을 얼마나 지르냐에 따라 훨씬 좋은 그래픽카드도 달수있지만.. 서민 입장에선 힘들죠.

암튼 시작해봅시다.


참고로 벤치마크 점수는 G3D Mark 라는 점순데, 정확한 기준은 저도 잘 모르므로

그냥 상대적인 지표라고 생각하고 봐주시길 바랍니다


인텔 내장그래픽 UHD 630


먼저 가장 기본적인~ 인텔 그래픽카드 UHD 630입니다.

일반적인 인텔 8세대 CPU에 내장되있는 그래픽카드로, 그램, 삼성 올웨이즈같은 가벼운 노트북이나 싼 노트북들이 대부분 이 그래픽카드를 채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부분의 대기업 노트북이 무게를 취하기위해 이 그래픽카드를 선택하고 남은 돈으로 마감이나 나머지 부분을 채우죠.

주로 사무용, 들고 다닐때 사용되는 그래픽카드로 롤 이상의 게임은 돌아간다고 보기 힘듭니다.


벤치마크 점수는 G3D 마크 기준으로 1173이며, 약간 낮은 수준입니다.

그래픽 메모리는 1GB 입니다.

플레이 가능 게임 : 롤 중상옵, 오버워치 최저사양, 2D 게임 등


플레이 동영상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GeForce MX150


다음으로 지포스사의 모바일 GPU인, MX150입니다.

모바일 GPU답게, 데스크탑 GPU 보다는 간소화되고, 발열도 줄였지만 성능도 줄였는데요,

그래도 내장그래픽보다는 외장그래픽으로써 위상을 갖고있는 그래픽카드입니다.

노트북은 들고 댕겨야겠는데 간단한 게임은 하고싶다! 한다면 이 GPU가 든 노트북을 선택하시면 됩니다..만

정말 애매한 위치라고도 볼수 있어서, 무겁기만하고 프로그램도 제대로 실행 못하는 노트북으로 전락해버릴수도있습니다.

이 그래픽카드가 최대로 지원하는 게임이나 프로그램을 잘 알고 선택하는것이 먼저라고 생각되네요.


벤치마크는 위의 인텔 UHD에 비해 약 2배인 2140정도를 갖고 있네요.

또한 그래픽 메모리는 2GB입니다.


플레이 가능 게임 : 롤 상옵, 오버워치 중옵, 배그 최최최하옵, 로아 최하옵 등


플레이 동영상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로스트아크




지포스 GTX 1050


다음으로 나름대로 게이밍 노트북급 그래픽카드로 취급되는 GeForce GTX 1050입니다.

이 그래픽카드는 데스크탑에도 쓰이고, 아직 현역이고, 그리고 정말 많이 보편적으로 쓰기때문에

성능도 무난하고, 대부분의 게임도 원활하게 돌린다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이런 성능을 내기 위해선 발열도 많이일어나고

이를 잡기위해서 쿨러 등 부속품을 달다보니 무게가 무거운 노트북이 많이 나왔죠.


노트북을 고정시키고 어댑터에 붙여서(흔히 말하는 시즈모드) 작업을 하시는 분들은 이 그래픽카드가 달린 노트북을 추천 드립니다.


벤치마크는 MX150의 약 2배인 4627이고,

그래픽카드 램 메모리도 2GB와 4GB 두종류가 있습니다.


플레이 가능 게임 : 배그 중옵이상, 오버워치 상옵, 로스트아크 상옵 등


플레이 동영상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아쉽게도 로스트 아크 동영상은 아직 유튜브에서 없는거같네요 ㅠㅠ



최종적으로 세 모델을 비교해서 한 군데에 알아봤습니다.

보시다시피 각 모델마다 약 2배정도 성능 차이가 납니다.

위 제 설명을 보시고 자신의 목적에 맞는 사양의 그래픽카드와 CPU 가 달린 노트북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