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41개의 글

윈도우 10 저장된 와이파이 비밀번호 알아내는 2가지 방법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25. 21:58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가끔씩 윈도우 10에서 와이파이를 이용하는데,

친구가 와이파이를 빌려달라할때나 다른 기기에 와이파이 로그인을 할 떄,

비밀번호를 까먹어서 곤란했던 적이 있으셨나요?

이번에는 Windows 10에서 와이파이가 저장된 상태의

비밀번호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이용하기


먼저, 간단한 방법을 이용해봅시다.

우측 하단에 와이파이 모양 아이콘을 클릭하고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에 들어가 주세요.




위와같이 현재 와이파이 상태를 볼수있는 설정 창이 떳을겁니다.

아래의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에 들어가 주세요.




위와 같이 네트워크 공유 센터가 나왔을 겁니다.

연결 쪽에 자신의 와이파이 이름이 파랗게 칠해져 있을텐데, 그걸 누르면

와이파이에 대한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무선 속성'을 눌러 주세요.





무선 속성에 들어가보면, 상단에 보안 탭이 하나 있을겁니다.

네트워크 보안 키 부분이 패스워드, 즉 비밀번호인데요.

문자 표시에 채크를 하면 보안 키가 원상태로 보이게 될겁니다.(관리자 권한 필요해요!!)


이건 간단한 방법이지만.. 현재 연결되어있는 와이파이 비밀번호만 알 수 있습니다.


다음 두번째 방법은 약간 더 복잡(?) 할수도 있지만 연결되어있지 않은 와이파이 또한 알 수 있는 방법입니다.. 후후


2. CMD창 명령어 이용해서 알아내기


다음 방법입니다.

윈도우키 + R 버튼을 누르면 '실행'창이 나오는데

거기에서 'cmd'를 치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그럼 위와 같은 명령 트롬프트 창이 뜰 텐데

거기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엔터를 눌러줍니다.

netsh wlan show profile

정상적으로 치면 위처럼 사용자 프로필이 나오는데,

여기선 그 컴퓨터에서 한번이라도 연결해놨던 모든 와이파이가 나옵니다.


비밀번호를 알아낼 하나의 와이파이를 정해줍시다.

저같은 경우 모자이크를 부분만 한 저 올레 와이파이 비밀번호를 알아보겠습니다.


다음으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netsh wlan show profile name=[와이파이 이름] key=clear

저같은 경우 와이파이 이름이 olleh_GiGA_WIFi_0000 이므로

netsh wlan show profile name=olleh_GiGA_WIFi_0000 key=clear

이런식으로 해줬습니다.


여러가지 항목이 막 많이 뜰텐데

저기 '키 콘텐츠'라고 되어있는곳이 패스워드입니다.




어때요.. 윈도우 10 와이파이 비밀번호 알아내는것도

생각보단 많이 쉽지 않나요?


아무쪼록 도움되었길 바라며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와이파이 속도 웹으로 측정하기! speedtest.net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23. 01:04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요즘엔 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서 3G, LTE 나 와이파이를 자주 이용하는데요.

사실 3G와 LTE는 돈이 들기때문에 노트북이나 공기계, 태블릿 등등은 와이파이를 거의 사용한다고 볼수있죠..ㅋ

그렇기 때문에 인터넷 속도는 와이파이 속도가 좌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 와이파이 속도를 측정하는 사이트를 하나 소개해드릴려고 합니다.

이를 측정하면서 내 인터넷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 확인해봅시다.




WIFI 속도 측정 사이트 Speed.net


http://www.speedtest.net/ko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위 사이트에 들어가서 "GO" 버튼만 눌러주면 측정이 시작되고 결과가 나옵니다.




저희 집 기가 인터넷 속도입니다. 핑은 약 9쯤이고, 다운로드 속도는 184Mbps, 업로드 속도는 132Mbps가 나오네요.



안드로이드에서도 테스트할수있지만, 플레이스토어에 앱이 있습니다.



받아서 실행하는경우 PC와 동일하게 시작버튼만 누르면 시작됩니다.



제 갤놋8에서는 노트북과는 다르게 이정도 속도가 나오네요 ㅎ...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60프레임 플루이드 모션 적용방법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21. 22:15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요즘 채굴을 통한 비트코인이나 가상화폐 확보가 힘들어지고, 가상화폐 가격도 떨어지면서

중고 그래픽카드, 즉 채굴에 쓰였던 그래픽카드가 헐값에 많이 팔려나가는데요.


그 중에서는, AMD 사의 RX 시리즈가 많이 팔려나가고 있습니다.

RX470, RX570 등등을 구매하신 분들은 여러가지 기능을 찾으시다가 플루이드 모션이란 말을 들어보셨을겁니다.

오늘은 이 플루이드 모션을 동영상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플루이드 모션이란?


플루이드 모션은 AMD의 독보적인 기술로,

24 프레임이나 30 프레임 쯤 되는 동영상의 앞 뒤 사진을 그래픽카드가 임의로 만들어 60프레임으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24프레임으로 봐도 우리 눈에는 익숙하게 보여서 나쁘지 않지만,

60프레임 동영상을 한번 시청한 다음 다시 24프레임을 보면 차이가 조금 있다는게 느껴지죠.

아래의 유튜브 영상을 보시면 감이 오실겁니다.



이번에는, 팟플레이어에서 플루이드 모션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 반드시 팟플레이어와 AMD사의 그래픽카드가 있어야 진행이 됩니다.




플루이드 모션 팟플레이어(카카오 플레이어)에 적용시키기


http://bluesky23.yukishigure.com/en/BlueskyFRC.html


먼저, 위 링크로 들어가 사진처럼 Setup 파일을 받아서 설치해주세요.

BlueskyFRC 라는 코덱을 설정해주는겁니다.


설치 과정은 생략하겠습니다. 계속 Next만 누르면 되니..




다 설치하셨으면 Bluesky를 켜줍시다.


셋팅은 위처럼 해주시고,

혹시 추후에 플루이드 모션을 적용했을 때 화면이 흔들리는 것 같다 싶으신 분들은

아래의 Enable Zero-Copy Mode를 체크하시면 약간 해소가 됩니다.



좌측 하단에 ∧ 모양의 버튼을 눌르셔서

Active AFM setting on Radeon Settings 를 켜주시면 BlueSky 셋팅은 끝입니다.




다음으로, 라데온 설정으로 넘어갑시다.

라데온 설정을 켜시고, 비디오 탭에서

AMD Fluid Motion Video를 켜주시면 라데온 설정도 끝입니다. 쉽죠?



팟플레이어 설정으로 넘어갑시다.

팟플레이어를 켜고, 빈 화면에 우클릭 -> 환경 설정(F5) 을 눌러 환경 설정에 들어갑시다.



환경 설정에, 코덱/필터 -> 전역 필터 우선순위 탭으로 갑시다.

위의 시스템 코덱 추가 버튼을 눌러주세요.



잘 찾아 보시면, BlueSky Frame Rate Converter가 있습니다.

이걸 선택해주시고, 확인을 해주세요.


만약 없으신 분들은..




외부 코덱 추가 버튼을 누르셔서 위 경로로 들어가신다음에

32비트의 경우 BlueskyFRC32.dll을, 64비트의 경우 BlueskyFRC64.dll을 열어주시면 됩니다.




위처럼 제대로 설정이 되었으면, Bluesky Frame Rate Converter를 선택해주시고 '최우선 사용'을 체크해주세요.


그 다음 적용 버튼을 누르고, 확인을 누르면 마침내 모든 설정이 끝났습니다.


이제 팟플레이어를 재시작해서, 24프레임이나 30프레임 비디오를 60프레임으로 감상해봅시다.



위처럼 아무 동영상이나 재생시키고, 탭(Tab) 버튼을 눌러보시면

원래 24(23.9) 프레임 비디오가 59.99(60)FPS로 진행되는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카카오톡 PC버전 부계정까지 2개 켜는방법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20. 22:30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카카오톡 부계정을 TextPlus를 통해 만드는 방법을 소개했었는데요,

2018/12/17 - [IT관련 잡지식/소프트웨어] - 카카오톡 부계정 만들기 By TextPlus


이번에는 PC 카카오톡을 가상화 프로그램인 Sandboxie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Sandboxie(샌드박스, 샌드박시)를 다운로드해야합니다

공식 홈페이지 링크는 https://www.sandboxie.com/ 이곳이며

정확한 다운로드 및 설치는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말하자면 Sandboxie, 샌드박시는 일종의 가상화 프로그램으로

프로그램을 가상의 윈도우? 쯤으로 가정해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Sandboxie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떳을것입니다.



위처럼 Sandbox Default 에 우클릭을 한 상태로

Sandboxie로 실행 -> 프로그램 실행 버튼을 차례대로 눌러줍니다.




위와 같은 창이 나오면,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위처럼 KakaoTalk 설치 폴더까지 가줍니다.

일반적으로는 위 사진처럼 C:\Program Files (x86)\Kakao\KakaoTalk 폴더입니다.

그 후 KakaoTalk.exe를 선택해 열기 버튼을 눌러줍시다.


그 다음 확인 버튼을 눌러주시고 조금만 기다리면.



위처럼 카카오톡이 하나 실행이 될겁니다.

저같은 경우 일반적인 PC에 깔려있는 카카오톡으로 하나를 실행하고,

그 뒤에 Sandboxie로 카카오톡을 하나 더 실행한 모습입니다.


이제 본계정, 부계정 자유롭게 카카오톡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ㅎㅎ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



컴퓨터 부품 온도를 실시간으로 보기 - HWMonitor

Posted by 아이티프로13
2018. 12. 19. 22:42 프로그램 추천

안녕하세요. 쿠과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가 정말 사랑하는~~ 프로그램인

온도를 체크하는 Hwmonitor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제가 몇몇 포스팅을 하면서 이 프로그램을 사용한 적이 많지만

이 프로그램에 대해서 잘 모르는 분들도 많기때문에

이번에 확실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로 여러 작업을 하다보면 렉이 걸릴때가 많은데요, 물론 성능의 문제일 경우도 많지만,

온도가 너무 높아 온도를 낮추기 위해 일부러 성능을 깎는, 쓰로틀링(Throttleling)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대다수 노트북들은 이런 문제를 안고 있죠.


그렇기 때문에, 언더볼팅이나 써멀재도포 등을 하는데

이떄 꼭 필요한것이 온도를 체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HWMonitor도 이런 프로그램 중 하나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프로그램을 추천해드리는 이유는

온도를 직관적으로 섭씨로 보여주고, 최대, 최소, 현재 온도를 보여주며,

CPU와 GPU, SSD와 HDD 등 모든 온도를 보여주기 때문에 비교하기가 비교적 간편합니다.



HWMonitor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위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서 다운로드 받거나


https://www.cpuid.com/softwares/hwmonitor.html


위 사이트(공홈)에서 받으시면 됩니다.


공홈에서 받으면 설치파일로 받으실수도 있지만, 제가 첨부한 파일은 포터블 파일, 즉 압축만 해제해 바로 실행하면 됩니다.



압축 해제하면 위처럼 있을텐데, Hwmonitor_x64를 일반적으로 실행하시고

32비트시라면 Hwmonitor_x32를 실행하시면 됩니다.




위처럼 창이 뜨실텐데, 왼쪽의 Value가 현재 온도, Min이 최소 온도, Max가 최대 온도입니다.

제 일반적으로는 Max온도를 보고 온도가 얼마나 올라갔는지를 판별합니다.

제 맥스온도는 평이한 수준이군요. 방금 켜서 그런가...핫핫하...


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면

블로거에게 힘이 됩니다!